고양이 예방접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밖에서 사는 길고양이들이야 아무래도 주인이 없다보니 아프거나 다쳐도 병원을 가는 경우가 없겠지만 집에서 같이 사는 고양이들이 아프다면 정말이지 큰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. 그래서 필수적으로 하는 고양이들에 예방접종에 대해서 한번 적어보겠습니다.
[필수1] 혼합예방백신
- 바이러스성비기관지염(Rhinotracheitis)
- 칼리시바이러스(Calici virus)
- 범백혈구감소증(Panleukopenia)
- 고양이백혈병(Leukemia virus)
- 클라미디아(Chlamydia)
- 전염성기관지염(Bordetella bronchiseptica)
[필수2] 광견병예방백신
- 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(rabies virus)를 가지고 있는 동물에게 사람이 물려서 생기는 질병으로 급성 뇌척수염의 형태로 나타난다. 광견병은 기본적으로는 동물에게서 발생하는 병이다.
[선택] 전염성복막염예방백신
- 코로나바이러스에의한 전신성 질병으로 지속적인 고열과 농성육아종병변을 보이며 체강에 삼출성 액체가 저류되는 폐사율이 높은 전염성 질병.
[접종시기]
D+60 : 혼합예방백신 1차 (35,000원)
D+90 : 혼합예방백신 2차 (35,000원)
D+120 : 혼합예방백신 3차 (35,000원)
D+150 : 광견병예방백신(20,000원) + 전염성복막염예방백신(45,000)
대부분은 혼합예방백신 1,2,3차와 광견병예방백신만 접종하고 복막염예방백신은 잘 맞추지 않습니다.
혼합예방백신과 광견병은 필수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.
복막염예방접종은 무조건 맞추는게 아니고 항체가 있는지 검사 후에 맞추는데요. 보통 검사비용이 5~7만원 정도 합니다. 현재 고양이 집사님들과 수의사분들의 개개인 의견이 갈라져서 복막염예방접종은 꼭 하는게 좋다 아니다 의견이 분분합니다. 개인적으로 저희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접종을 하지 않았습니다.
이 후 부터는 종류별로 1년에 한번씩 접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. (혼합예방백신은 1번씩만)
저희 같은 경우에는 복막염예방접종은 하지 않기 때문에 혼합예방백신과 광견병예방백신으로 1년에 55,000 원의 접종비용이 발생합니다.
고양이 전문 커뮤니티 우와차캣에서 더 많은 정보 확인하세요
- 갓 태어난 새끼 고양이들을 키울 때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 (2개월 미만)
우와차캣에서 육묘일기를 쓰신다면 언제쯤 접종해야되는지도 바로알 수 있겠죠? +_+
[우와차캣] 고양이 사료의 등급과 종류 오가닉, 홀리스틱, 슈퍼프리미엄의 차이 (2) | 2014.09.04 |
---|---|
순수 고양이 커뮤니티 우와차캣 [질병검색시스템, 육묘일기] (0) | 2014.07.31 |
고양이 질병대책본부 : 고양이감기 허피스 바이러스 (0) | 2014.07.30 |
고양이 키우는데 들어가는 비용? 얼마나 들까요? (0) | 2014.07.24 |
냥줍했어요! 어떻게 할까요 ? (0) | 2014.07.24 |
우리동네 다리를 다친 귀여운 노랑 고양이 (0) | 2013.09.27 |
래그돌 (0) | 2013.04.01 |
노르웨이숲 (0) | 2013.04.01 |
터키시앙고라 (0) | 2013.04.01 |
러시안블루 (0) | 2013.04.01 |